반응형

아래아한글의 글자모양은 제법 다양한 옵션들을 가지고 있습니다.
일반적인 보고서를 작성할 때 사용하는 글자크기(height), 위첨자와 아래첨자, 특별한 경우 글자색을 넣는 정도 외에도
다양한 글자모양 옵션을 아래와 같이 간단한 명령어를 조합하여 적용해볼 수 있습니다.
이밖에도 UseKerning과 SmallCaps 파라미터가 있지만, 둘 다 현재는 쓰이지 않는 것 같습니다.
폰트를 한/영 여러 번 바꿔가면서 적용해봤는데 변동이 없더라고요ㅜ
예를 들어 아래와 같이 실행해볼 수도 있고요.
소스코드는 아래와 같습니다.
재미있네요ㅎ
유용하게 써주시길 바랍니다.
반응형
'아래아한글 자동화 > pyhwpx 사용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pyhwpx] 한 줄의 코드로 자간자동조절 : auto_spacing (1) | 2024.01.26 |
---|---|
[pyhwpx] 한/글 자동화 문의 및 요청의 90%는 ㅇㅇ 관련이었어요. (0) | 2024.01.25 |
[pyhwpx] 파이썬 정규식으로 찾아바꾸기 (4) | 2024.01.23 |
댓글